반응형
1. 개요
파이썬 연산자 중 True/False 결과로 참인지 거짓인지를 판단하는 방식과
더불어 비교 연산자를 통해 판단할 수 있는 소스를 작성해보자.
2. 예제
소스
print("1+1==2",1+1==2)
print("1-1==2",1-1==2)
print("3==3",3==3)
print("2!=2",2!=2)
print("1+2>=2",1+2>=2)
print("14<=2",14<=2)
결과
설명
- 1+1은 2와 같다. (True)
- 1-1은 2와 같다. (False)
- 3은 3과 같다 (True)
- 2는 2와 다르다 (False)
- 1+2는 2보다 크거나 같다 (True)
- 14는 2보다 작거나 같다 (False)
※ 비교연산자는 프로그래밍을 하는데에 있어서 필수적으로 사용된다고 할 만큼 자주 사용된다.
자주 사용되는 비교 연산자
연산자 | 설명 | 예시 |
== | 양쪽이 같다 (같으면 True, 다르면 False) | 3 == 3 -> True 2 == 8 -> False |
!= | 양쪽이 다르다 (다르면 True, 같으면 False) | 2 != 9 -> True 2 == 2 -> False |
< | 왼쪽이 오른쪽보다 작다. | 3 < 8 -> True 4 < 2 -> False |
> | 왼쪽이 오른쪽보다 크다. | 3 > 2 -> True 4 > 8 -> False |
<= | 왼쪽이 오른쪽보다 작거나 같다. | 4 >= 4 -> True 4 >= 5 -> False |
>= | 왼쪽이 오른쪽보다 크거나 같다. | 4 <= 5 -> True 2 <= 1 -> False |
3. 비교연산자(==)와 대입 연산자(=)
1. 파이썬에서 '양쪽이 같다.'라고 표현하는 방식은 = 이 아니라 ==이다.
파이썬에서 등호(=) 하나는 '변수에 값을 저장한다.'라는 의미이며 헷갈리지 않도록 주의!
예시 | 설명 |
1==2 | 1과 2가 같은지 판단 (결과는 False) |
a = 2 | a라는 변수에 2를 저장 |
a == 2 | a라는 변수에 저장된 값이 2와 같은지 판단 -> 위 예시를 기준으로 한다면 결과는 True |
2. 비교 연산자는 숫자뿐만 아니라 문자도 가능하다.
소스
print("abc == abc : ","abc"=="abc")
print("abc == ABC : ","abc"=="ABC")
결과
설명
1. 위 예제를 통해 알 수 있듯 문자열의 비교 연산자도 사용이 가능하다.
2. 파이썬은 대소문자를 구분하며, 그렇기 때문에 문자열 'abc'와 'ABC'는 다른 문자로 판단한다.
반응형
'python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파이썬 기초] random모듈을 이용한 추출 (0) | 2022.04.18 |
---|---|
[파이썬 기초] if문을 통한 판단 (0) | 2022.04.15 |
[파이썬 기초] time 모듈을 활용한 프로그래밍 (0) | 2022.04.11 |
[파이썬 기초] 파이썬에서 자주 사용하는 자료형 (0) | 2022.04.07 |
[파이썬 기초] input 명령을 이용한 입출력 (0) | 2022.04.07 |
댓글