본문 바로가기
python

[파이썬 기초] true/false를 통해 참 거짓 판단하기(feat.비교연산자)

by 와오1 2022. 4. 12.
반응형

1. 개요

파이썬 연산자 중 True/False 결과로 참인지 거짓인지를 판단하는 방식과

더불어 비교 연산자를 통해 판단할 수 있는 소스를 작성해보자.

 

2. 예제

소스

print("1+1==2",1+1==2)
print("1-1==2",1-1==2)
print("3==3",3==3)
print("2!=2",2!=2)
print("1+2>=2",1+2>=2)
print("14<=2",14<=2)

결과

설명

- 1+1은 2와 같다. (True)

- 1-1은 2와 같다. (False)

- 3은 3과 같다 (True)

- 2는 2와 다르다 (False)

- 1+2는 2보다 크거나 같다 (True)

- 14는 2보다 작거나 같다 (False)

 

※ 비교연산자는 프로그래밍을 하는데에 있어서 필수적으로 사용된다고 할 만큼 자주 사용된다.

자주 사용되는 비교 연산자

연산자 설명 예시
== 양쪽이 같다 (같으면 True, 다르면 False) 3 == 3 -> True
2 == 8 -> False
!=  양쪽이 다르다 (다르면 True, 같으면 False)  2 != 9 -> True
2 == 2 -> False
< 왼쪽이 오른쪽보다 작다. 3 < 8 -> True
4 < 2 -> False
> 왼쪽이 오른쪽보다 크다. 3 > 2 -> True
4 > 8 -> False
<= 왼쪽이 오른쪽보다 작거나 같다. 4 >= 4 -> True
4 >= 5 -> False
>= 왼쪽이 오른쪽보다 크거나 같다. 4 <= 5 -> True
2 <= 1 -> False

 

3. 비교연산자(==)와 대입 연산자(=)

1. 파이썬에서 '양쪽이 같다.'라고 표현하는 방식은 = 이 아니라 ==이다.

파이썬에서 등호(=) 하나는 '변수에 값을 저장한다.'라는 의미이며 헷갈리지 않도록 주의!

예시 설명
1==2 1과 2가 같은지 판단 (결과는 False)
a = 2 a라는 변수에 2를 저장
a == 2 a라는 변수에 저장된 값이 2와 같은지 판단
-> 위 예시를 기준으로 한다면 결과는 True

2. 비교 연산자는 숫자뿐만 아니라 문자도 가능하다.

소스

print("abc == abc : ","abc"=="abc")
print("abc == ABC : ","abc"=="ABC")

결과

설명

1. 위 예제를 통해 알 수 있듯 문자열의 비교 연산자도 사용이 가능하다.

2. 파이썬은 대소문자를 구분하며, 그렇기 때문에 문자열 'abc'와 'ABC'는 다른 문자로 판단한다. 

반응형

댓글